제물론 3

<장자莊子>'제물론齊物論' 만필 ③

나-2. 설결齧缺과 왕예王倪의 문답 a. 일문삼부지一問三不知  설결齧缺이 왕예王倪에게 물었다. “선생님께서는 갖가지 사물들이 모두 서로 공통점이 있다는 것을 아십니까?” 왕예가 대답했다. “내가 어찌 그것을 알겠느냐!” 설결이 또 물었다. “선생님께서는 선생님께서 모르는 바를 아십니까?” 왕예가 대답했다. “내가 어찌 그것을 알겠느냐!” 설결이 이어서 또 물었다. “그렇다면 모든 사물에 대하여 알 방법이 없다는 말씀입니까?”왕예가 대답했다. “내가 어찌 그것을 알겠느냐! 그렇기는 하지만 이제 그 문제를 한번 대답해 보기로 하자꾸나. 자네는 내가 안다는 것이 알지 못하는 것이라는 걸 어떻게 아는가? 그리고 내가 모른다는 것이 알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는 걸 어떻게 아는가?”  齧缺問乎王倪曰:「子知物之所同是乎..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 만필 ①

2-가-a. 나는 나를 잊었다[吾喪我]  남곽자기南郭子綦가 책상에 몸을 기대어 비스듬히 앉아서 하늘 우러르며 한숨을 짓는데 그 멍한 모습이 마치 짝을 잃은 것 같았다. 안성자유顔成子游가 그를 앞에서 모시고 서 있다가 이렇게 물었다. “무슨 일입니까? 몸뚱이란 본래 말라서 죽어 버린 나무처럼 될 수 있고 마음도 본래 불 꺼진 재처럼 될 수 있다는 겁니까? 지금 책상에 기대어 비스듬히 앉으신 모습은 예전에 책상에 기대어 비스듬히 앉으셨던 모습이 아닙니다.” 제자의 이 말에 자기子綦는 이렇게 대답했다. “언偃아, [안성자유의 성은 안성顔成, 자는 자유子游, 이름은 언偃이다] 네가 참으로 훌륭한 질문을 하는구나! 지금 나는 나 자신을 잊었는데, 너는 이 사실을 알 수 있느냐? 너는 사람이 부는 퉁소 소리는 들어..

<장자莊子>'제물론 齊物論'

2. 제물론齊物論 『제물론齊物論』은『장자莊子·내편內篇』가운데 두 번째 편이다. 이 편은 모두 다섯 개의 상대적이고 독립적인 이야기를 잇달아 병렬하여 엮었다. 이야기와 이야기 사이에는 비록 관련된 구절이나 단락의 표시가 없을지라도 내용은 통일된 주제와 사상이 관통하고 있다. 게다가 개괄한다는 점에서, 또는 사상의 깊이라는 면에서 한 걸음 더 깊이 나아가며 이어지면서도 이어지지 않는 것 같고 끊어질 듯 이어질 듯 앞뒤가 관통하고 서로 호응하는 멋진 짜임을 보인다. ‘제물齊物’은 그 어떤 차별도 시비도 미추도 선악도 귀천의 구분도 없이 모든 사물의 근본은 모두 똑같다는 뜻이다. 장자는 만물은 모두 혼연일체가 되어 끊임없이 대립하면서 변하기 때문에 구별이 있을 수 없다고 생각했다. 장자의 이런 견해는 사물의 한..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