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비가 된 장자/ 장자가 된 나비
언제인가 장주莊周는 꿈에 나비가 되었다. 훨훨 날아다니는 나비가 되어 유쾌하게 즐기면서도 자기가 장주라는 것을 깨닫지 못했다. 문득 깨어나 보니 분명 장주였다. 장주가 꿈에 나비가 되었는가, 나비가 꿈에 장주가 되었는가? 장주와 나비는 반드시 구별이 있다. 이런 것을 일러 물화物化라고 한다.
昔者莊周夢為胡蝶,栩栩然胡蝶也,自喻適志與!不知周也。俄然覺,則蘧蘧然周也。不知周之夢為胡蝶與,胡蝶之夢為周與?周與胡蝶,則必有分矣。此之謂物化。
「제물론」의 마지막 문단입니다. 장주가 꿈에 나비가 된 이야기는 모르는 이가 없을 만큼 널리 알려졌습니다. 그러나 이 이야기에 숨겨진 의미는 쉽게 찾을 수 없습니다. 나비가 되어 훨훨 춤추며 유유자적하며 자기가 한 마리 나비인 줄 알았지 장주가 누구인지 몰랐습니다. 그러다가 문득 깨어나니 자기는 분명 장주입니다. 나비가 아닙니다. 이게 정말로 사람을 당혹스럽게 만듭니다. 아니 나비가 꿈에 장주가 되었을까요, 아니면 장주가 꿈에 나비가 되었을까요? 어떤 것이 참이고 어떤 것이 꿈일까요? 장주와 나비는 분명 서로 관계조차 없는 두 종류의 사물이 아닙니까?
이게 바로 ‘물화物化’입니다. 이 문단의 핵심어는 말할 것도 없이 ‘물화’입니다. 장자는 분명히 자신의 존재를 의식합니다. 그런데 자신이 끝내 한 마리 나비가 되어 존재하는지, 아니면 장주가 되어 존재하는지, 그것도 아니면 ‘나’는 분명 다른 사람이나 다른 어떤 것이 꾸는 꿈속의 존재인지 알지 못합니다. 물物과 아我의 한계가 사라지고 만물이 녹아 풀어져 하나가 되는 것, 이것이 바로 물화입니다.
우리는 이 이야기를 통하여 ‘꿈’과 ‘깨어남’이 하나가 되는 점을 봅니다. 만물이 차별 없이 가지런하다는 생각은 삶과 죽음이 같다는 생각과 일치됩니다. 장자는 사물과 사람을 진정으로 분리하여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사람이 곧 사물이고 사물이 그대로 사람입니다. 꿈이 곧 깨어남이요 깨어남이 곧 꿈이기에 나비가 바로 장주이고 장주가 또 곧 나비입니다. 그러니까 ‘물화’란 바로 사물과 나의 경계가 사라지고 만물이 그대로 하나가 된다는 뜻입니다. 이렇게「제물론」의 마지막 문단을 ‘장주가 꿈에 나비가 된 일’을 배치한 점은 참으로 절묘합니다.
'<장자莊子>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자莊子> '양생주養生主' 만필 ① (8) | 2025.06.21 |
---|---|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 만필 ⑤ (0) | 2025.05.31 |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 만필 ④ (2) | 2025.04.25 |
<장자莊子>'제물론齊物論' 만필 ③ (1) | 2025.04.10 |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 만필 ② (0) | 2025.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