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앙 5

신뢰의 중요성

의생 구竘는 진秦 나라의 명의였다. 그는 제齊 나라 선왕宣王의 여드름을 다스렸고 진秦 나라 혜왕惠王의 치질을 다루었는데 모두 다 고쳤다. 장자張子가 등에 종기가 돋자 구에게 치료를 부탁하며 이렇게 일렀다. “이 등을 나의 등이라 여기지 말고 그대 뜻에 따라 마음대로 치료해도 좋소이다.” 치료가 시작되자 그의 종기는 점점 나아졌다. 구는 물론 병을 치료하는 데 뛰어난 고수였지만 장자도 구가 마음 놓고 치료하도록 했기에 성공할 수 있었다. 사실 사람의 몸이나 나라를 다스리는 일은 모두 이와 같다. 반드시 다른 사람을 깊이 믿으며 권력을 마음 놓고 넘겨줘야 나라를 훌륭하게 다스릴 수 있다. (有醫竘者,秦之良醫也. 爲宣王割痤, 爲惠王治痔, 皆愈. 張子之背腫, 命竘治之. 謂竘曰: “背非吾背也,任子制焉.” 治之遂愈..

산문 마당 2022.10.08

법과 제도

군주의 자리에 있어도 명령이 통하지 않으면 위험하다. 온갖 기관이 이미 직분을 받았지만 상궤를 벗어나면 엉망이 된다. 법과 제도가 있지만 멋대로 마구 혜택을 베풀면 백성들은 형벌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군주에게 존엄만 있으면 법은 널리 통할 수 있다. 또 관리가 맑고 깨끗하면 정치는 관례대로 움직일 수 있다. 법과 제도가 분명하면 백성은 형벌을 두려워한다. 법과 제도가 분명하지 않으면서 백성들에게 법과 제도에 복종하라고 요구할 수는 없다. 백성이 법에 복종하지 않는데도 군주의 존엄을 바란다면, 군주가 요나 순처럼 지혜로워도 나라를 다스릴 수 없다. 『상군서商君書』「군신君臣」가운데 한 구절이다. 전국시대, 칠웅 가운데 서쪽 변방의 제후국 진秦이 최후의 승자가 되었다. 상앙商鞅이 마련한 변법이 결정적인 역할을..

산문 마당 2022.09.07

거열車裂된 밑돌-상앙商鞅

재능이 넘치는 젊은이 위衛 나라 서얼 공자 상앙商鞅이 위魏 나라로 가서 그 나라 재상 공숙좌公叔痤를 섬긴 건 결코 우연이 아니었다. 마음속에 품은 욕망이 남달랐던 그에게 위魏 나라는 그의 뜻을 널리 펼치는 데 더없이 좋은 나라였다. 이때까지만 해도 위나라는 전국시대 여러 나라 가운데 강국이었다. 이 나라 재상 공숙좌는 집안의 크고 작은 일을 관장하는 집사의 자리에 상앙을 앉혔다. 이는 그의 능력에 대한 큰 신임이 있었기에 가능한 처사였다. 당시 위나라 군주는 혜왕, 도읍을 대량大梁으로 옮겼기에 흔히 양혜왕梁惠王으로 불리는 그는 춘추시대 군주처럼 패자를 꿈꾸는 야심만만한 임금이었다. 어느 날, 혜왕은 깊은 병으로 일어날 가망이 없는 재상 공숙좌를 찾아 이 나라를 이끌 재상으로 적합한 인물의 천거를 요청했다..

지도와 함께하는 전국시대

*먼저 전국시대 바로 앞 시기 춘추시대 말엽의 지도부터 보자. 전국시대 1. 개략 . 동주 시대 여러 제후국이 각각 자기 땅을 더 넓히기 위해, 자기 권력을 더 많이 가지기 위해 격렬하게 투쟁을 벌이던 시대. . 춘추시대와 전국시대는 역사상 시간적 경계가 명확하지는 않지만 대체로 기원전 453년을 표지로 삼는다. . 이 해에 춘추시대 여러 제후국 가운데 큰 나라였던 진晉이 조趙, 위魏, 한韓으로 갈라지는, 이른바 ‘삼가분진三家分晉’이 일어난다. 종주국 주 왕실의 권위가 무너진 것이다. . 이로부터 서쪽 변방의 진秦이 천하를 통일한 기원전 221년까지를 전국시대라 이른다. . 이 시대를 대표하는 특징은 전쟁으로 인한 난리가 2백여 년이나 잇달았다는 점이다. . 인구는 대략 3천만 명 이상, 기원전 249년..

무신불립無信不立

. 무無 - 없다, ...이 아니다. . 신信 - 신의, 믿음, 신뢰. . 불不 - (동사나 형용사 앞에 쓰여 부정을 나타냄) . 립立 - 서다, 존재하다, 생존하다. . 신뢰가 없으면 설 수 없다.>>신뢰가 없으면 (개인이든 국가든) 존립할 수 없다. . 출처 - '안연편'에, 자공이 정치에 대하여 묻자, 공자께서는 이렇게 대답하였다. "먹을 것이 넘치고, 병력이 넉넉하고, 백성들이 (통치자를) 신뢰해야 하느니라." 자공이 다시 묻기를, "어쩔 수 없이 꼭 없애야 한다면, 무엇을 앞세워야 합니까?" 라고 하자, 공자께서는, "병력을 없앤다."라고 대답했다. 자공이 또다시 묻기를, "어쩔 수 없이 꼭 없애야 한다면, 나머지 둘 중에 무엇을 앞세워야 합니까?"라고 하자, 공자께서는, "먹는 것을 없앤다. ..

사자성어 & 말 2021.11.1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