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쓸모없음’[無用]과 ‘쓸모없음의 큰 쓸모’[大用]
혜자惠子가 장자莊子에게 이렇게 말했다.
“위魏 나라 임금이 내게 큰 박의 씨를 주어서 심었더니, 곡식을 다섯 섬이나 담을 정도로 커다란 열매가 열렸소. 국물을 담자니 무거워서 들 수 없고, 쪼개어서 바가지로 쓰자니 납작하고 얕아서 뭘 담을 수가 없소. 엄청나게 크기는 했지만 아무 쓸모가 없어서 부숴버렸소.”
장자가 말했다.
“선생은 큰 것을 쓰는 데 정말로 서툴군요. 송宋 나라에 손 안 트는 약을 잘 만드는 사람이 있었는데, 대대로 솜을 물에 빠는 일을 업으로 삼았소. 이 이야기를 들은 어느 나그네가 백금百金을 주고 약 만드는 방법을 사겠다고 하자, 온 집안 식구를 한데 모으고 의논을 했소.
‘우리는 세세대대로 솜 빠는 일을 해 오고 있지만, 소득은 불과 몇 푼밖에 안 된다. 이 기술을 팔면 하루아침에 백금을 얻을 수 있다니, 그만 넘기기로 하자.’
나그네는 약 만드는 방법을 손에 넣자 오吳 나라 임금을 찾아가서 유세했소. 월越 나라가 오나라로 쳐들어오자 오나라 임금은 그에게 부대를 통솔하도록 했소. 그는 겨울에 월나라 군사와 수전水戰을 벌여 크게 깨뜨렸소. 오나라 임금은 그에게 땅덩어리를 떼어내어 봉하며 큰 상까지 내렸소. 손을 트지 않게 할 수 있는 약을 조제하는 방법은 같은데, 어떤 이는 그것으로 땅덩어리에다 작위까지 받았지만, 어떤 이는 거기 의존하여 물에서 솜 빠는 일만 했소. 이는 사용하는 방법이 달랐기 때문이오. 지금 선생은 다섯 섬이나 담을 수 있는 커다란 박이 있는데, 어찌하여 그 박의 속을 파내어서로 술통 모양의 배를 만들어 강호江湖에 띄울 생각은 하지 않고 박이 너무 커서 쓸모없다는 걱정만 하시오? 보아하니 선생은 마음을 꽉 막혀 통하지 않는군요.”
惠子謂莊子曰:「魏王貽我大瓠之種,我樹之成而實五石,以盛水漿,其堅不能自舉也。剖之以為瓢,則瓠落無所容。非不呺然大也,吾為其無用而掊之。」莊子曰:「夫子固拙於用大矣。宋人有善為不龜手之藥者,世世以洴澼絖為事。客聞之,請買其方百金。聚族而謀曰:『我世世為洴澼絖,不過數金;今一朝而鬻技百金,請與之。』客得之,以說吳王。越有難,吳王使之將。冬,與越人水戰,大敗越人,裂地而封之。能不龜手一也,或以封,或不免於洴澼絖,則所用之異也。今子有五石之瓠,何不慮以為大樽而浮乎江湖,而憂其瓠落無所容?則夫子猶有蓬之心也夫!」
『장자』내편 일곱 편 가운데 혜자惠子가 장자와 벌이는 논쟁은, 장자의 혜자에 대한 비판을 포함하여 모두 세 차례뿐입니다. 여기 데려온 문단과 다음 꼭지 문단이 첫 번째 장면입니다. 뒤를 이어「제물론齊物論」에서는 ‘혜자가 책상에 기대어 변설을 늘어놓은 것’이 ‘견백론堅白論처럼 궤변을 늘어놓은 어리석음’이라는 정자의 비판이 있고,「덕충부德充符」에는 마지막 단락에서 ‘정情’과 ‘무정無情’을 두고 날카로운 논쟁을 벌입니다. 혜자는 외편과 잡편에도 여러 번 등장하여 장자와 논쟁을 벌입니다. 그 가운데 몇 가지를 골라 일정한 형식에 구애됨 없이 여러분과 함께 이 연극의 관객이 되어 봅시다.
혜자는 장자와 같은 전국시대 중엽을 살았던 인물로서 이름은 시施, 태어난 곳도 장자와 같은 송宋의 몽군蒙郡(지금의 허난성 상치우商丘)입니다. 그는 장자보다 한 해 먼저 태어나 장자보다 스물 몇 해 먼저 세상을 떠났습니다. 이름난 정치가요 철학자로서 명가名家 학파의 창시자이기도 합니다. 장자와는 철학적 지향이 달랐기에 둘은 만나면 논쟁을 벌였습니다.
장자의 ‘무용無用’과 ‘대용大用’을 이 꼭지의 제목에서는 ‘쓸모없음’과 ‘쓸모없음의 큰 쓸모’라고 옮겨 달았습니다. 이제 간략하게 ‘무용’과 ‘대용’으로 사용합니다. ‘무용’과 ‘대용’은 장자 철학의 사상 체계 가운데 중요한 부분입니다. 장자는 이를 통하여 사물의 가치에 대한 상대적인 이해를 추구합니다.

장자는 ‘무용’이 결코 절대적인 게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특정한 환경이나 필요에 따라 상대적이라고 믿었지요. 위의 ‘다섯 섬이나 담을 수 있는 커다란 박’이 너무 무거워서 국물을 담을 수 없으니 ‘무용’하다는 혜자의 말에 ‘대용’할 수 있다며 반박합니다. 이 커다란 박의 속을 파낸 뒤 술통 모양의 배를 만들어 큰물에서 부구浮具로 쓸 수 있다는 것입니다. ‘무용지물’을 상황에 맞게 사용하면 ‘대용지물’로 바꾸어 쓸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선생은 정말 큰 것을 쓰는 데 정말로 서툴군요.”, 이 부분의 원문을 다시 데려오면 ‘夫子固拙於用大矣’, 이렇습니다. 한문 공부를 조금이라고 한 독자라면 잘 알겠지만 ‘부자夫子’는 ‘제자의 스승에 대한 호칭’입니다. ‘공부자孔夫子’는 특별히 공자에 대한 존칭으로 쓰이지요. 혜자와 장자, 이들이 살았던 당시 송의 인구가 10만 명을 좀 넘었다는 점을 생각하면, 중심 도시인 몽현의 인구는 이보다 훨씬 적었을 터, 이들 둘은 허물없이 교유하는 친구였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더구나 혜자는 장자보다 나이가 겨우 한 살 많았을 뿐입니다. 그런데 장자는「소요유」에서 친구 혜자를 ‘선생’으로 격식과 예의를 갖추어 대접합니다. 참으로 훌륭한 모습입니다.
또 이 부분에서 ‘대大’, 곧 ‘큰 것’은 ‘사물의 큼’이기도 하지만 ‘쓰임의 큼’이기도 합니다. 이런 것을 쓰는 데 ‘졸拙’하다고, 곧 ‘서툴다’고, 그것도 ‘고固’를 앞에 두어 혜자의 ‘서툶’의 정도가 상당하다고 강조합니다. ‘고固’는 ‘정말로’, ‘확실히’라고 옮겨야 할 낱말입니다. 그러고 보면, 장자는 혜자를 ‘선생’으로 표현하며 격식과 예의를 갖추지만, ‘무용’도 ‘대용’할 수 있다는 자기 원칙에서 물러서지 않습니다. 아니, 당신 정말로 서툴지 않소, 이렇게 날카롭고 예리합니다.
그리고 이제 솜을 물에 빠는 일을 생업으로 삼은 인물, 곧 어리석은 송나라 사람의 일화를 덧붙입니다. ‘대용’할 수 있는 귀한 기술을 가지고 있었지만 ‘소용小用’밖에 할 수 없었기에 이 송나라 사람은 어리석은 인물로 치부될 수밖에 없습니다. 장자는 같은 물건도 이곳에 아닌 저곳에서 사용되었을 때 그 효과는 아주 다르다는 견해를 여기 손 트는 데 쓰이는 약을 기술로 가진 송나라 사람의 예를 듦으로써 혜자에게 다시는 반론할 수 없는 패배를 안깁니다.

추위에도 손이 트지 않은 약을 제조하는 기술은 서로 다른 운명을 맞이합니다. ‘수주대토’나 ‘알묘조장’의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그 송나라 사람처럼 솜을 물에 빠는 일을 가업으로 삼은 이는 입에 풀칠하는 데 그쳤지만, 이 기술을 백금에 사들인 나그네는 큰 땅덩어리에 작위까지 받는 영광을 누립니다. 이는 같은 기술이지만 한쪽에서는 ‘무용’을 ‘무용’으로 끝냈지만 다른 한쪽에서는 ‘무용’을 ‘대용’으로 이끈 좋은 예입니다. 예로 든 이 부분은 두 사람이 벌인 논쟁에서 장자의 승리, 혜자의 패배를 확실히 알립니다. 이는 명가의 철학보다는 장자가 속한 도가의 철학이 훨씬 우위에 있다는 점을 세상에 알린 첫 번째 일화입니다.
장자가 데려온 송나라 사람 이야기는 우리를 깨우치는 점이 몇 가지 있습니다.
먼저 사람은 멀리 내다봐야지 눈앞의 작은 이익에 매몰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입니다. 먼 데까지 내다보는 눈이 나그네에게 큰 기회를 안기지 않았습니까?
또 무엇을 움직이게 하거나 부리어 쓰는 데 능숙한 인물이 ‘대용’한다는 점입니다. 손안에 있는 남다른 기술도 누가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결과를 낳지 않았습니까? 나그네는 가치를 최대화했지만, 송나라의 그 사람은 눈앞의 이익만 볼 줄 알았지 이 약의 숨겨진 더 큰 힘을 알려고도 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부리어 쓸 생각도 하지 않았습니다.
장자는 이 문단을 내편의 다른 여섯 편의 글에 배치하지 않고「소요유」의 거의 마지막에 배치했습니다. 아등바등 애면글면 바삐 사는 이는 쉬엄쉬엄 느리게 가면서도 절대 자유를 누리는 이의 참삶을 이해하지 못할 것입니다. 혜자는 무궁無窮에서 노니는 장자의 삶을 헤아리지 못했기에 ‘쓸모없음’을 ‘쓸모없음의 큰 쓸모’로 이끈 장자의 논리에 아직도 고개를 갸우뚱할 테지요. ‘변화’하여 ‘붕’이 된 자는 ‘북명’에서 ‘남명’까지 ‘붕정만리’할 수 있습니다. 더하여 ‘붕정만리’하는 이의 눈에는 ‘쓸모없음’이 오히려 ‘더 큰 쓸모’로 보이게 마련입니다.
장자의 후학이 저술한 작품으로 추정되는『장자』외편「지락至樂」에 이르면 한걸음 더 나아가서 ‘쓸모없음의 더 큰 쓸모’[무용지용無用之用]의 경계를 명백히 서술합니다. 이리하여 ‘지극한 즐거움에는 즐거움이 없으며, 지극한 명예에는 명예가 없다.’[지락무락,지예무예至樂無樂, 至譽無譽]는 데에 이릅니다. 진정한 즐거움이나 영예는 진정한 자기 밖에서 이루어지는 성취나 다른 이로부터 받은 인정에서 얻어지는 게 아니라 자기 마음 속의 평화와 자유로부터 얻어진다는 말입니다.
「소요유」의 ‘무용지용無用之用’, 곧 ‘쓸모없음의 큰 쓸모’나「지락」의 ‘지극한 즐거움에는 즐거움이 없으며, 지극한 명예에는 명예가 없다’는 구절은 모두 장자와 그의 후학들이 추구한 핵심적인 철학입니다. 이들은 모두 세속적인 것을 초월하여 내재한 가치를 추구하며 만족하라고 이릅니다. 「소요유」의 ‘무용지용’이 사물이 가진 상대성과 내재적 가치에 치중하며 겉으로 드러난 모습에 미혹되지 말고 사물의 본질을 강조했다면,「지락」의 ‘지락무락 지예무예’는 마음의 평정과 자아 가치의 실현에 치중하여 즐거움과 영예의 내재한 가치를 강조합니다.
이 글을 쓰고 있는 나도 젊은 한때, 눈에 보이는 명예와 이익에 마음이 빠져 갈팡질팡 헤매었습니다. 이런 것들이 곧 성공과 행복을 보장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진정한 행복과 만족은 마음의 평정에서 이루어지는 자아 가치의 실현임을 이제 깨닫습니다. 물론 여기에는 곁에 두고 짬나면 읽고 쓰며 묵상한『장자』의 깨우침이 컸음을 고백합니다.
'<장자莊子>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자莊子> 만필-두 가지 일화(장자와 혜시)⑦ (0) | 2025.02.22 |
---|---|
<장자莊子> '소요유逍遙遊' 만필 ⑥ (0) | 2025.02.16 |
<장자莊子> '소요유逍遙遊' 만필④ (4) | 2025.02.06 |
<장자莊子> '소요유 逍遙遊' 만필漫筆 ③ (1) | 2025.02.04 |
<장자莊子> '소요유 逍遙遊' 만필漫筆 ② (0) | 2025.02.01 |